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우주배경복사


<우주배경복사, WMAP>


교실 한쪽 끝에 A가 있고 반대쪽 끝에 B가 있다고 합시다.

그런데 교실 내부가 안개로 자욱한 상태라면 A와 B는 서로를 볼수 없게 됩니다.

왜냐면 A에서 출발한 빛이 B까지 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교실을 가득채우고 있는 안개가 빛의 진행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안개가 걷히게 되면 A, B는 서로를 잘 볼수 있게 됩니다.

이는 A에서 출발한 빛이 B에게까지 자유롭게 갈수 있다는 것입니다. (B에서 출발한 빛도 A에게 갑니다.)



여기서 안개가 걷힌뒤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 빛이 바로 우주배경복사 입니다.

우주초기에 빛의 진행을 방해하던 안개같은 것이 바로 전자이구요.


즉 우주초기에 전자가 자유롭게 우주공간에 있을때 (=안개가 자욱할때)

빛은 전자의 방해로 마음대로 이동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이 전자가 원자핵에게 잡혀 원자가 형성되는 순간 (= 안개가 걷힘)

빛은 우주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빛이 우주공간으로 쫙 퍼져 나가는데 이 빛이 우주배경복사입니다.



즉 우주초기에 뜨거운 우주에서는 전자와 원자핵이 서로 분리되어 었지만

우주가 팽창하면서 우주의 온도가 내려가면 전자와 원자핵이 서로 결합하게 됩니다.

이 시기(전자와 원자핵이 결합한때)가 바로 우주 폭발이후 38만년이 되었을때입니다.

'지구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의 일주운동  (0) 2015.01.28
별의 일주운동  (0) 2015.01.23
겨울(1월) 밤하늘  (0) 2015.01.18
별의 일주운동  (0) 2015.01.11
은하에 속하지 않는 별  (0) 2015.01.09